총론 (부자학개론)
-
재테크의 기본 : 멀리 해야 할 인간 부류총론 (부자학개론) 2019. 4. 12. 17:30
재테크하는데 옆에 두면 은근히 치명적인 부류가 소득은 높은데 나이에 비해 가진 것 없는 사람 이런 부류가 제일 위험하다. 처음엔 맛집도 잘 알고 돈도 잘 쓰고 얼마나 좋아? 같이 신나게 돈 쓰다가 세월 지나면 ㅈ되는 거... 이런 부류 특징 1. 소비 요정 당연한거죠? 돈 잘 버는데 왜 가진 게 없겠어 ㅎㅎ 오랜 세월 돈 잘 쓰면서 안 가본 곳 없고, 안 먹어본 거 없고 안 해본 거 없고. 취미도 이거 저거 안 해본 거 없어서 온갖 분야에 아는 사장님이 널려있다. 2. 고급 취향 돈 잘 쓰다보면 그 맛에 빠져서 점점 눈 높아짐. 좋은 곳 다닐려면 옷도 급 맞춰 입어야 되고 비싼 옷 사면 시계도 비싼 거 가방도 비싼 거... 이렇게 악순환 들어가면 빠져나오기 힘들다. 먹물로는 소비의 비가역성이라고 함. 3..
-
'그때 내가 왜 그랬지?' 후회를 줄이는 법 (下)총론 (부자학개론) 2019. 4. 11. 07:30
지난 글에서 시시한 로직이 최선의 로직일 수 있다고 썼는데 참고글: 2019/04/10 - [총론 (부자학개론)] - '그때 내가 왜 그랬지?' 후회를 줄이는 법 (上) '그때 내가 왜 그랬지?' 후회를 줄이는 법 (上) 지난번에 선택에 있어서 본질에 집중하자는 글을 한 번 썼는데 참고글: 2019/02/23 - [총론 (부자학개론)] - 선택이 고민 될 때 : 어떤게 최선일까? 선택이 고민 될 때 : 어떤게 최선일까? 배당컷으로 수직낙하한.. pujin28.tistory.com 이렇게 보수적으로 해도 내가 가정한 최악 보다도 더 최악이 있다는 게 함정. 왜? 우리는 '겪어본 최악'을 '일어날 수 있는 최악'으로 착각하거든. 근데 보면 바닥 밑에 지하실 있고 그러다 맨틀도 나오고 그런 거지. 우리 모두는..
-
'그때 내가 왜 그랬지?' 후회를 줄이는 법 (上)총론 (부자학개론) 2019. 4. 10. 23:18
지난번에 선택에 있어서 본질에 집중하자는 글을 한 번 썼는데 참고글: 2019/02/23 - [총론 (부자학개론)] - 선택이 고민 될 때 : 어떤게 최선일까? 선택이 고민 될 때 : 어떤게 최선일까? 배당컷으로 수직낙하한 KHC. Buy? Hold? Sell? 선택은? 주식이건 배우자건 부동산이건 뭐건 결국 최선의 선택에 필요한 건 이게 아닐까 선택의 이유를 파악하고, 그에 집중하는 것 한 마디로 얘기하면 "무엇 때문.. pujin28.tistory.com 오늘은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의 생각을 정리하는 글. 가끔 자기 능력보다 큰 욕심에 눈을 가려서 눈에 뵈는게 없어지는 때가 한 번씩 오는데... 바로 그럴 때가 위기임. 한 방에 훅 간다. 네 물론 경험담입니다 그래서 급할수록 돌아가란 건가 보다 뭐 ..
-
실패를 방지하는 법총론 (부자학개론) 2019. 3. 31. 15:49
내가 진짜 자신 있는 분야가 아니라면, 가장 확실하고 안전한, 그리고 빠른 길은 일단 잘 하는 놈 따라 하는 것 뉴비 주제에 "난 쟤보다 더 잘 할거야" 이런 근자감 가지고 잘못 덤벼들었다간 시간낭비 에너지낭비 실컷 하고... 깨지고 나서 정신 차려봐야 삽질하는 사이 벌어진 갭을 만회할 수 없게 된다. 현실적으로 내가 제2의 버핏이 되는 것을 꿈꾸는 것보다, 버핏 조언대로 인덱스 묻던가... 아님 아예 버크셔 해서웨이(BRK.B) 돈 있으면 BRK.A 사는 게 현실적인 거지. 이건 왜 이렇게 하지? 이해가 안 되어도 따라 하다 보면 아 이래서 그랬구나 이런 깨달음이 어느 순간 온다. 특목고 -> KY 졸업 서울대는 SKY라는 말 안 쓰십니다 -> 회계사 -> 공인중개사 이렇게 나름 공부 쪽 테크트리 타본..
-
[펌] 돈이 고픈 사람에게 대출은 가뭄의 단 비와 같은 존재총론 (부자학개론) 2019. 3. 17. 15:19
현재 경제 시스템에서는 '얼마를 버느냐'만큼이나 '얼마를 빌릴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의 갭은 나날이 벌어질 거라 보지만 아직은 '공부로 좋은 직장'의 메리트가 남아있는게 이 점이라고 봄. 직장인인 경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CF로 대출 상환 시나리오가 나온다는게 엄청난 무기 게다가 체감 인플레이션보다 금리가 낮은 상황이라면? Cat ⓒPixabay자, 비를 봐라 면적이 넓은 사람이 더 많은 비를 맞는다. 대출규제는 비를 적게 내리게 하거나 많이 내리게 하는 방법 탈수직전의 사람과 건강한 사람이 혼재하는데 비를 못내리게 막아버리면 건강한 사람이 타격받겠노? 으이그.....정책꼬라지하고는... 오히려 대출규제의 가뭄기가 지나고 나면 탈수되어 뒤진놈 덕에 소수의 살아남은 사람이 부를 독점한다..
-
기회는 기다리지 않는다총론 (부자학개론) 2019. 3. 15. 19:00
지난번에 부동산 얘기를 하면서 내 손 안의 새가 중요한 거라고 강조했는데 참고글 :2019/03/13 - [총론 (부자학개론)] - [부동산] 손 안에 든 새 한 마리가 덤불 속 두 마리보다 낫다 말하자면 이런거죠 교회건 동아리건 뭐 어디 모임을 나갔는데 헐 대박 여기 막 이쁜 애들 천지야 그럼 뭘 하냐고 ㅋㅋ 앉아서 이거저거 재고만 있으면 나한테 기회 옵니까? 괜찮다 싶으면 이미 임자 있을 뿐더러 그것도 모자라서 주위 남자들이 남사친이랍시고 번호표 뽑고 기다리고 있어요 Puppy ⓒPixabay 여자애가 프로필에서 커플사진 내리고 상태 변경만 띄워놔도 "무슨 일 있어?" 바로 입질 들어옵니다 ㅋㅋ 마냥 기다리는 애한텐 차례 안 간다고 항상 레이더 날 세우고 있어야지 조금만 기다려볼까? 하다가는 크리스마..
-
[펌] 경제란 풍선과 같습니다.총론 (부자학개론) 2019. 3. 12. 11:00
온라인에서 발견한 글인데 그야말로 일필휘지 왜 현재 신용화폐구조에서 인플레이션과 양극화가 진행 될 수 밖에 없는가에 대한 탁월한 비유 마지막 'ㅋ' 한 글자까지 뺄게 없다 참고글2019/03/11 - [총론 (부자학개론)] - 작은 차이가 명품을 만드는 이유 Sheep ⓒPixabay 자. 풍선에 상중하로 점이 3개가 찍혀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리고 풍선을 불어보세요. 점 3개가 같은 간격으로 고정되나요? 차이가 더 벌어지죠? 이게 경제입니다. 멍청이들은 간격이 같아야된다고 지껄이지만요. ㅋ 끝.
-
작은 차이가 명품을 만드는 이유총론 (부자학개론) 2019. 3. 11. 18:41
어제 만원의 행복이 사실 공포특집이었다는 글을 썼는데 참고글:2019/03/10 - [부록 (단상)] - [단상] 공포특집 : 만원의 행복 오늘도 아재특집으로 추억의 광고 카피 작은 차이가 명품을 만듭니다 ⓒSBS 주변에 이런 사람들 한 번씩 봤잖아? 장동건 닮긴 닮았는데... 윤아 닮긴 닮았는데... 분명 닮긴 닮았는데 뭐 그런... 99%를 닮았어도 1% 어긋나면 그냥 아예 다른거다. Cat ⓒPixabay 암튼 중요한 건 결국 한 끗에서 갈린다는 거 그리고 그 한 끗의 pricing은 인플레이션 덕분에 점점 커진다는 거 왜냐면 한 끗인지 몇 끗인지가 중요한게 아니고 한 끗이건 얼마건 차이가 있다는게 중요한 거 거든 100m 9.58초에 뛰는 우사인볼트가 9.98초에 뛰는 사람보다 몇 배 빠른지가 문..